회사채 시장에 들어온 빨간불이 꺼질 줄 모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회사채 발행을 통한 기업의 자금조달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미 지난달 회사채 발행 규모는 16조 4천4백억여 원으로 지난 8월보다 19.8%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반회사채 발행이 많이 줄었고 이 가운데서는 AAA등급 발행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우량물 비중이 크게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레고랜드 사태 여파까지 겹쳐 이번 달 회사채 발행 실적은 더 악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이렇게 기준금리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되면 시중의 전반적인 유동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요. 회사채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자금 규모 자체가 작아질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인 공사채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우량 공사채에 속하는 AAA등급의 한국가스공사 채권과 AA+등급의 인천도시공사 채권이 예상 규모만큼 투자자를 찾지 못해 발행이 취소됐고, AAA등급 공사채인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전력공사도 2년물·3년물 투자자 모집에 나섰으나 모두 목표 금액을 채우지 못해 유찰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 도입과 회사채, 기업어음 매입 등 50조 원 넘는 유동성 공급 정책을 발표했지만 현장 분위기는 여전히 싸늘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상만 / 하나증권 연구원 : 변동성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게 사실 더 불안 요인이에요. 금리가 급변동하면 아무래도 발행 시점이나 계획을 세우는 것도 쉽지 않아서….]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증권사에 추가 유동성 3조 원 지원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하는 등 움직임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권은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신속한 집행에 협조하기로 했고,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는 제2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회사채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시장에서도 매수심리가 살아나는 분위기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어서 자금시장 경색이 풀리긴 쉽지 않아 보인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02710493023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